BULSIK / ⟪법성게⟫ 이야기 #6 "일중일체다중일/일즉일체다즉일"

一中一切多中一 一卽一切多卽一

하나속에 모든 것이, 모든 것 속에는 하나가 있습니다
그 하나는 모든 것이고, 모든 것은 그 하나입니다.

6상원융 중 전체와 부분과, 같으면서 다른 모습이 여기서 밝혀진다. 생물의 DNA에 대한 지식을 가진 우리가 오늘날 이 구절을 이해하는 것은 몇 백년전 사람들과는 달리 어렵지 않다. 손톱, 머리카락 하나에서 우리 몸 전체의 정보를 읽어낼 수 있으니 작은 한 부분에 전체가 들어있다는 말도 그렇게 놀랄만 한 사실은 아니다.


모르겠다. 두리뭉실애매모호가 역으로 진리를 판단하는 기준이었던 동양의 사유를 가진 우리 선조들에게도 이 구절이 별로 어렵지 않았는지도.


전체와 부분이 사실은 나누어질 수 없고 같고 다름이 서로 통하는데 문제가 없다는 생각을 우리가 잠시 잊고 있었는지도 모른다.
궁즉통窮則通, 끝에 가면 통한다는 역설이 지나가는 소리가 아니라 어쩌면 물리의 세계를 제대로 이해하고 설명했던 구절이었던 것은 아닐까.


여기서 1이란, 전체를 구성하는 가장 작은 다르마, 더이상 쪼갤 수 없는 기본단위의 물질, 즉 법(法)/다르마(dharma)이다. 더 이상 쪼개질 수 없는 근본물질인데도 불구하고 여기에 모든 것이 들어있다는 것이다. 중(中)은 가운데라는 뜻은 꼭 아니다. ‘속’이란 의미, ~’에’란 장소의 의미도 된다.


7언절구 한구절에 상반된 의미를 다 넣었다. 다(多)는 전체이다. 뒷구에 나오는 일체(一切)와 같은 의미다. “다중일(多中一)” 전체, 혹은 모든 것에 하나가 들어있다. “하나 속에 모든 것이 있고, 전체 속에 하나가 있다.” 뭐 전체를 구성하는 것이 바로 ‘하나들’이니 이건 이해가 된다.


하지만 그 뒷구절은 하나와 전체를 아예 같은 것이라고 해 버린다.

“하나가 전체이고, 전체가 하나이다”

우리가 물리의 세계를 보기 위해선 관점, 즉 차원이 필요하다. 점을 잡아당기면 1차원의 선이 되고 선 전체를 가로질러 잡아 당기면 2차원의 면이되며, 면 전체를 늘이면 3차원의 입체가 된다. 2차원만 되어도 대개 한쪽면에서는 다른쪽 면을 볼 수가 없다. 입체는 말할 것도 없다. 한쪽에서 바라보면 반드시 사각지대가 생긴다.


물고기 눈(fish eye)란 카메라 렌즈는 사진을 찍으면 엄청난 화각이 나온다. 하지만 왜곡이 생긴다. 쭉쭉 뻗은 것들이 휘어져 보인다. 아마 물고기의 눈에는 사물이 그렇게 보이기 때문에 붙인 이름일까, 아니면 볼록한 렌즈의 모양 때문에 그렇게 명명되었는지는 모르겠다. 그런데 정말 우리가 보는 쭉쭉뻗은 사물은 제대로이고, 물고기 눈 렌즈에 찍힌 굽은 사물은 왜곡일까? 모든 객관 대상은 주관의 능동적인 시점에 따라 달라진다. 대상, 사물의 생김새의 좋고 나쁨이나 크고 작음에 대해서는 모두 보는 자가 어떤 잣대를 갖고 보는가에 따라서 달라진다. 사실은 무엇인가를 크다 작다고 주장하는 것 자체가 오류고 모순인지도 모르겠다. 절대의 세계에서 스머프의 다리는 결코 짧지 않으며 기린의 목은 결코 길지 않다.


그 길이가 길고 짧은 걸 판단할 수 있다는 것이 마치 우리의 뛰어난 지능의 힘인것 같지만, 그걸 길고 짧다고 판단하는 순간, 역설적으로 우리는 매우 기계적이 된다. 갖고 있는 정보를 기준으로 반사적으로 길다 짧다를 판단하는 것이니 사실은 지능이 아니라 그만큼 비인간적일 때도 없다. 끊임없이 어떤 특정한 잣대를 기준으로 좋고 나쁨과 크기, 가치를 쉴새없이 계산하고 판단한다. 테잎으로 움직이는 핑퐁카가 앞을 받으면 뒤로 가다가 뒤를 받으면 다시 앞으로 가는 수준, 화장실 변기에 물이 빠지면 풍선이 떨어져서 물이 나오고 풍선이 물에 잠겨 올라가면 물이 안나오는, 결국 우리의 판단 능력이 딱 그정도다. 하나 더 있기는 하다. 우리는 누군가의 생김새나 길고 짧음에 대해 옆사람과 다른 견해를 가지고 다툴 수도 있다! 와. 대다나다.


본론으로 돌아가자. 그렇게 차원의 벽에 갇힌 시각으로 우리는 하나와 전체가 다른 것이 당연하다는 사실을 의심하지 않는다. 하지만 절대의 세계 - 절대의 세계에 대해서 너무 거창하게 생각하지 말자. 완벽하게 객관적이면, 즉 주관만 배제해 버리면 그대로 절대의 세계이다. - 에서는 하나와 전체란 개념자체가 사라진다. 있던게 사라지는게 아니라 없던 걸 만든게 우리의 주관이기 때문이다. 굳이 상태와 패턴을 만들고 크기와 모양을 한쪽으로 몰아서 정리하고 분류한게 우리이기 때문이다.


관점이 사라지면 사각지대도 사라진다. 이쪽에서 보니 저쪽이 안보이는 것 아닌가. 결국 모든 것의 시작점은 주관이다. 주관의 한 가지 시점을 우기면 나머지 부분은 틀린게 되어버린다. 일중일체다중일은 하나속에 전체가 들어있고, 전체가 하나로 구성되어 있다고 말하지만, 일즉일체다즉일은 결국 하나와 전체를 구분하는 것 자체가 의미없다고 말한다. 그럴법도 하다. 사실 현상계는 단 한 번도 전체와 하나로 구분되었던 적이 없기 때문이다.


n4o2cextfpaostdgw6su.png

H2
H3
H4
3 columns
2 columns
1 column
Join the conversation now
Logo
Cen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