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1. 비용구조

1.개요

현대중공업 투자를 결정하면서, 조선업에 대한 공부의 필요성을 느끼고 관심이 가는 주제에 대해서 하나하나 정리를 해보고자 합니다. 이하 내용은 별다른 출처 표시가 없을 경우 (<조선 기술>, 대한조선학회, 지성사)의 내용을 출처로 합니다.

개인적으로 산업을 분석할 때 가장 먼저 확인하는 내용이 비용의 구조입니다. 예컨데, 조선업의 경우라면 상선을 기준으로 각 품목별 비용의 비중이 얼마나 되는지 등에 대한 정보를 말합니다. 이런 비용구조에 대해서 관심을 갖는 이유는, 그래야 외부환경이 변화하는 상황을 포착했을 때, 그 변화가 해당 산업에 어떤 방향으로(호재/악재), 얼마나(%) 영향을 줄지 추정해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

특히 '얼마나'라는 부분이 중요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비중을 봐야한다고 생각합니다. 투자 기회가 발생하는 경우는 다양하지만, 가장 대표적인 것이 투자자들이 어떤 사건으로부터 발생하는 영향에 대해서 방향은 맞지만, 그 크기에 대해서 과소 평가하거나 과대 평가할 때 발생하는 것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2.총원가구조
KakaoTalk_20171220_151017953.jpg

  • 출처 : 조선기술, 대한조선학회, 지성사

그림 왼쪽에 있는 도식화된 그림은 비단 조선업 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제조업 기업에 경우에 적용할 수 있는 그림입니다. 대략 원가구조를 보면, 자재비가 70% 인건비가 15% 경비 및 일반 관리비 15% 구조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일단 조선업 자체가 제품을 생산하는 제조업이기 때문에 자재비 비중이 상당히 큰 편입니다. 그런데 '자재비'라고 뭉뚱그려 놓으니 막연한 감이 있습니다. 그래서 '자재비' 부분에 대해서 먼저 알아보겠습니다.

3.자재비 부분 상세
KakaoTalk_20171220_150843209_-_복사본.jpg

1)철판

상선의 대표적인 선종인, 탱크선과 벌크선의 자재비 구성비율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그림입니다. 두 선종 모두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자재는 역시 철판입니다. 조선 산업에서 주로 사용하는 철판은 일반적으로 두께 6mm이상의 두꺼운 강판인 '후판'이라는 철판입니다. 아, 다만 위 그림의 철판 비중에는후판 뿐만 아니라 다른 강재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국내에서는 1975년부터 포스코가 조선용 후판을 생산/공급하였고, 그후에 동국제강, 현대제철 등이 시장에 진입해 공급하고 있습니다. 기업별 생산capa는 포스코 연간 700만톤(포항 1,2,3공장 광양 1공장), 동국제강 연간 150만톤(당진 공장), 현대제철 연간 350만톤(당진 1, 2공장) 수준으로 알려져있습니다.(국내 CAPA 합계 연간 1,200만톤) 경우에 따라서는 해외(일본, 중국) 기업으로부터 공급 받는 경우도 있다고 알려져있습니다.

가격 결정은 공급자인 철강업계와 수요자인 조선업계 간의 협상을 통해서 결정됩니다. 최근 철광석 등 원자재 가격 상승을 이유로 중국 주요 철강기업에서 강재 가격을 인상한 여파로 국내 철강업계도 강재 가격 인상을 요구하였고, 7월 이후 공급분부터 후판 가격을 톤당 5만원씩 인상하였습니다.
후판가격.png

2)기자재(철판 외)

상선 건조를 위해서는 철판 외에도 선박에 장착될 각종 장비가 필요합니다. 위 자재비 구성비율 그림에서 기관장비, 갑판장비 등에 해당하는 부분입니다. 선종별로 투입되는 비율에 대해서 비교적 자세히 나와있는 아래 사진을 참고해서 알아보겠습니다.
KakaoTalk_20171220_150844791_-_복사본.jpg

위에서 언급된 철판류인 강재 외에도 엔진, 기기, 배관재, 선실재, 전장재, 의장재 등이 투입되며, 선종별 품목이 선가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위와 같습니다. 주의 하실 점은, 전체 품목의 비중 합이 100이 아니라는 점입니다. 자재비 중 비중이 아니기 때문에, 인건비&경비 등의 비중을 제외한 60% 내외가 전체 품목 비중의 합입니다.

선종별 기자재 사항을 확인하면서 인상적인 부분은 LNG선의 경우입니다. LNG 선의 경우, 다른 선종보다 기기/장비의 선가 대비 비중이 상당히 높습니다. 액화천연가스(LNG)를 수송하기 위해서 극저온 상태( 섭씨 -161.5℃이하)를 유지하게 만드는 일련의 장비가 필요한 특성에 기인한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각 분류별 기자재의 상세 목록은 다음과 같습니다.

KakaoTalk_20171220_150845212_-_복사본.jpg

-관련기사
후판價 인상 움직임에 조선업계 '전전긍긍'
(URL : http://news.inews24.com/php/news_view.php?g_serial=1066783&g_menu=022620&rrf=nv)
공급 과잉 심화에도 철강업계 후판 구조조정 ‘눈치게임’
(URL: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6/11/25/2016112501000.html)
국내 철강업, 조선업 수주절벽+과잉생산설비 ‘이중고'
(URL: http://www.ekn.kr/news/article.html?no=247008)

H2
H3
H4
3 columns
2 columns
1 column
Join the conversation n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