맬서스 달러 인플레이션 산술급수와 비트코인의 기하급수적인 가치상승

맬서스 달러 인플레이션 산술급수와 비트코인의 기하급수적인 가치상승

토머스 로버트 맬서스(영어 Thomas Robert Malthus, 1766년 2월 14일 ~ 1834년 12월 23일)는 영국의 성직자이며, 인구통계학자이자 정치경제학자이다. 고전경제학의 대표적인 학자 가운데 한 명으로 영국 왕립 학회 회원이었다. 인구학에 대한 이론으로도 유명하다. 오늘날 그는 토머스 맬서스로 불리고 있으나, 그는 생전에 로버트로 불리기를 원했다.
토머스 로버트 맬서스는 영국 서리 주 길드포드에서 대니얼 맬서스와 헨리에타 맬서스 사이에서 8남매 중 차남으로 태어났다. 그의 가족은 부유했으며 아버지 대니얼은 데이비드 흄과 개인적인 친분이 있었으며 장 자크 루소와도 알고 지냈다. 토머스 맬서스는 집에서 기초적인 교육을 받은 후, 1784년 워링턴에 있는 케임브리지 대학교의 지저스 컬리지로 진학하였다. 대학에서 그는 라틴어, 그리스어, 영어 독법 등 다양한 분야를 공부하였으나 주된 연구분야는 수학이었다. 맬서스는 1791년 학위를 수여 받았고 2년 뒤 전임 교수가 되었으며, 1797년 성공회의 성직자로 서품되었다. 앨버리에서 부제가 되었으며, 재임중에 '인구론'을 발표하였다.
맬서스는 1804년 그의 종질인 헤리어트 에커설과 결혼하였으며 둘 사이에 세명의 자식을 보았다. 1805년 맬서스는 헤일리 베리 동인도대학의 영국 수석 교수로 부임하였다. 1818년에는 영국 왕립 학회 회원이 되었다. 한편, 맬서스는 언청이를 치료한 1833년이 되어서야 자신의 초상화를 그렸다. 언청이는 집안 내력이었다.
토머스 맬서스는 1834년 사망하였으며 바스 대성당에 묻혔다.
맬서스Thomas_Malthus.jpg
맬서스는 1798년 〈인구의 원리가 미래의 사회 발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소론 - 고드윈, 콩도르세, 그리고 그 외 작가들에 대한 고찰을 포함하여(영어 An Essay on the Principle of Population as It Affects the Future Improvement of Society, with Remarks on the Speculations of M.Godwin, M.Condorcet,and Other Writers)〉의 초판을 익명으로 출간하였으며 1826년까지 6번의 개정판을 출간하였다. 매 개정판에는 새로운 소재, 당시 세계각국의 인구통계, 비판에 대한 대응, 자신의 입장 변화 등을 담아 논문을 보강하였다.

맬서스는 역사 속의 모든 인구 증가가 결국 빈곤으로 이어졌으며 이는 인구의 증가가 식량과 같은 자원의 증가보다 급격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일어나는 현상이라고 주장하였다. 맬서스의 인구 성장에 대한 가설은 아래와 같다.(논문의 1798년 판)
생존은 인구 규모에 의해 강한 제약을 받는다.
생존 수단이 증가할 때 인구도 증가한다.
인구 증가의 압력은 생산력의 증가를 필요로 한다.
생산력의 증대는 더 큰 인구 성장을 기대하게 한다.
생산력의 증대가 이러한 인구 성장의 필요 정도를 지속적으로 보장하는 것은 불가능하므로 인구 성장의 수용력은 한계에 봉착한다.
성행위, 노동, 아이 등을 위한 개인의 비용/수익이 인구의 증가 또는 감소를 결정한다.
인구가 생존 가능한 규모를 초과하면
자연은 사회 문화적인 잉여(잉여 인구)에 대해 특정한 효과를 부과하게 된다. - 맬서스는 이러한 특정한 효과의 예시로 빈곤, 악, 곤경 등을 들었다.
그는 인구의 자연 증가는 기하급수적인데, 식량의 생산은 산술급수적이므로, 인간의 빈곤은 자연 법칙의 결과라 하고, 이것으로써 자본주의 사회의 모순을 합리화하여 사회주의적 사상에 반격을 가하였다.
또 그의 <경제학 원리>는 리카도에 반대하여 부·노동·가치·차액 지대·공황 등에 관한 자기 주장을 서술한 것인데, 전적으로 지주 및 자본가를 옹호하는 입장을 취하고 있다.[1]
맬서스의 인구 이론은 당대 뿐 아니라 후세에 이르기까지 여러분야에 매우 강한 영향을 주었다. 과학에서는 찰스 다윈, 알프레드 월리스등의 진화론 학자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1978년 마이클 하트가 발간한 《역사상 가장 영향력 있는 100인》에 맬서스는 80위로 소개되고 있다.
맬서스는 공급과 수요의 불균형에 대해 과잉이란 표현으로 개념화하였다. 그의 이론은 당대에는 종종 놀림거리로 취급되었으나, 오늘날에는 후세의 대공황과 케인즈의 등장을 예견한 것이란 평가를 받는다.

맬서스 이전의 경제 비평가들은 높은 출산율을 긍정적으로만 평가했는데, 인구의 증가는 노동 인구와 경제활동 인구의 증가로 이어져 경제 발전에 기여할 것이라 생각했기 때문이다. 맬서스는 인구 증가에 대해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였으며, 이로 인해 여전히 높은 출산율이 총생산 증가에 긍정적이라고 생각하는 경제학자조차 급격한 출생률 증가는 수용가능량 당 생산량의 감소를 가져온다는 것에 동의하게 하였다. 데이비드 리카르도(맬서스와 개인적인 친분이 있었다)나 앨프레드 마셜은 맬서스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았다.
맬서스주의의 영향력은 정치로 확대되어 당시 영국 총리였던 윌리엄 피트로 하여금 빈자법에 의한 빈자의 지원을 중단하게 하였으며 휘그당은 맬서스의 저작으로 인해 토리당의 온정주의와 결별하고 1834년의 빈민법 개정을 주도하게 한다. 또한 맬서스의 인구 이론은 1801년 영국 최초의 근대적 인구 조사가 실시되는 원동력으로 작용했다.
1820년 윌리엄 고드윈은 맬서스의 인구 이론을 비판하기 위해 《인구에 대하여》를 저술하였다. 존 스튜어트 밀, 나소 윌리엄 시니어와 같은 경제학자들, 로버트 오웬과 같은 산업가, 윌리엄 헤즐리트와 같은 논객, 윌리엄 코베트와 같은 윤리학자 등도 맬서스의 이론에 비판적이었다.
카를 마르크스와 프리드리히 엥겔스는 19세기 중엽 그들의 공동저작들을 통해 맬서스의 이론을 비판하였다. 마르크스의 입장에서 보면 맬서스가 주장하는 생산 수단 상의 인구 압박의 문제는 실은 인구에 대한 생산 수단의 압박일 뿐 이었다. 즉, 마르크스는 자본주의는 값싼 노동력을 지속적으로 얻기 위해 실업상태에 있는 예비 노동자군을 반드시 필요로하며 맬서스가 말하는 과잉 인구란 실은 자본주의에 의해 어쩔 수 없이 생기는 상대적 과잉일 뿐이라고 주장하였다.
찰스 다윈 (Charles Darwin, 1809∼1882)이 맬서스(Thomas Robert Malthus, 1766∼1834)의 『인구론』(Essay on the Principles Population, 1798년 출판)을 읽고,(다윈 자신의 말에 의하면) '흥미삼아' 읽은 이 책의 내용이 다윈이 직면하고 있던 문제에 대한 실마리를 제공했다. 인간사회의 치열해져 가는 생존경쟁에서 이기고 환경에 잘 적응하는 사람만이 살아남는다는 맬서스의 이야기는 다윈으로 하여금 '경쟁'의 중요성을 인식하도록 해 주었다. 곧, 이 같은 '경쟁'이 어떤 종의 여러 개체 중에서 환경에 잘 적응하는 성질을 가진 것만이 살아 남을 수 있도록 하는 선택의 수단으로 작용한다는 것이었다. 그리고 오랜 세월이 지나면 그 같은 성질을 가진 개체들만이 살아 남아서 종의 성질이 그 같은 방향으로 변화하도록 '선택'할 것이다. 또한 다윈은 『인구론』에서 이야기하는 인간이라는 하나의 종 안에서의 이 같은 '경쟁'을 같은 지역내의 여러 종들간의 경쟁으로 확장해서, 적응의 대상이 되는 환경에 한 종과 경쟁하고 있는 주위의 다른 종들도 포함되도록 했다. 기후, 풍토 등의 물리적 환경이 똑같은 갈라파고스군도의 서로 다른 섬들에서의 각각 다른 동식물 분포는 이 같은 종들간의 경쟁에 의해 설명될 수 있었다. 이렇게 해서 '자연선택'(natural selection)이 진화의 메커니즘이라는 다윈의 이론의 핵심이 형성되었다.
로널드 피셔는 그의 책 《자연 선택의 유전학》에서 맬서스의 이론이 실제 자연 선택과 어긋남을 지적하였다.
19세기의 경제학자들 중 일부는 노동의 분업과 특화 및 자본 투자의 증가와 여러 요인들로 인해 맬서스의 경고는 기우에 그칠 것이라고 믿었다. 그들은 기술의 진보와 자본 설비의 증대가 없다 하더라도 노동력 공급의 증가는 수확 체감의 법칙을 극복하고 생산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 확신하였다. 미국의 경제학자 헨리 조지는 다음과 같은 말로 맬서스의 주장을 반박하였다.
"제이호크(매의 일종)와 사람은 둘 다 닭을 먹는다. 제이호크가 닭을 잡아 먹으면 닭의 수는 줄어들 뿐이지만, 사람들이 닭을 먹을 때는 닭은 증가한다.

필자는 이미 맬서스의 인구론이 세계 정부의 인구감축 프로젝트 소프트 킬의 음모임을 간파하고 다음과 같은 말을 했다.
http://cafe.daum.net/homeosta/CodK/2484

맬서스의 말중에서 가장 유명한 말은 식량은 산술급수적으로 늘어나는데 인구는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난다는 말이다.
Thus, while food output was likely to increase in a series of twenty-five year intervals in the arithmetic progression산술급수 1, 2, 3, 4, 5, 6, 7, 8, 9, and so on, population was capable of increasing in the geometric progression기하급수 1, 2, 4, 8, 16, 32, 64, 128, 256, and so forth.
기하급수 산술급수 말이 어렵기도 한데 항상 교과서에 등장을 했다.
필자가 보기에 산술급수로 달러의 공급량이 늘어난다. 즉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를 해결한다고 양적완화를 시켜 달러를 막 공급해 인플레이션을 유발한다. 그러면 우리는 그냥 앉은채로 재산을 도둑맞는 꼴이다. 왜냐하면 소시민 기준으로 월급이나 기타 자산으로 도저히 물가상승 이상의 가치를 창출해내지 못하기 때문이다. 겨우 부동산 투자를 해서 성공한 사람이나 있을텐데 그것도 최근 연방준비은행과 한국은행이 금리를 올린다고 해서 어렵게 되었다.
그렇다면 부의 추월차선으로 기하급수적으로 자산이 증가해야 한다는 것인데 아마 일반인 생각으로는 1, 2, 4, 8, 16, 32, 64, 128이런 방식으로 늘어나는 재화가 어디 있는가 싶을 것이다. 거의 버블을 낀 미시시피 투기나 네덜란드 튤립 광풍등 정도 되어야 그정도 기하급수적인 폭발적인 증가가 있다고 볼수 있다.
위키리크스의 창시자이며 존경스러운 줄리언 어산지가 2010년 이후로 자신의 비트코인 수익률이 무려 5만%에 이른다고 주장했다. 이 7년의 기간동안 정도 되면 정말 비트코인이 인구론에서 말한 기하급수적인 자산 증식 수단임을 반증할 수밖에 없다.
이솝우화를 보면 느림보 거북이가 빠른 토끼를 토끼가 자만하는 틈을 타서 경주에서 우승하는 내용이 나온다. 지금까지 달러 인플레이션으로 원화의 폭락으로 미국정부로부터 자산 도둑맞음은 토끼만큼 빨랐다. 게다가 정부도 원화를 찍어내는 인플레이션, 물가상승은 밤낮을 가리지 않는다.
필자가 보기에는 거북이 같이 꾸준히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 퀀텀등을 장기투자, 가치투자한다면 산술급수가 아닌 기하급수적인 수익을 낼수 있다고 본다.

H2
H3
H4
3 columns
2 columns
1 column
Join the conversation now
Logo
Cen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