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w digital makes you an idiot? #1 (디지털은 어떻게 당신을 바보로 만드나? 1편)

When you want to know something, what would you do? I presume you go Google, search and get the result. Its very easy to get much information through digital devices and its convenient to use digital platform as they have massive data.
당신은 어떤 것을 알고 싶을 때, 어떻게 하나요? 아마도 구글에 가서 검색하고, 결과를 얻을 것입니다. 디지털 디바이스를 통해 정보를 얻는 것은 무척 쉽고, 막대한 데이터를 가진 디지털 플랫폼을 이용하는 것은 무척 유용합니다.

However, I think digital technology makes us an idiot. We need to understand side effect of digital technology.
하지만 제 생각에 디지털 기술은 우리를 바보로 만듭니다. 우리는 디지털 기술의 부작용에 대해서 이해할 필요가 있어요.

Digital giant corporates study usersdigital pattern and offer personalized contents based upon sophisticated algorithm for better user experience. For instance, Google search result varies by users and Facebook only shows contents that fits users interest. More user information is accumulated at big data server, algorithm gets more sophisticated and digital platforms understand user`s pattern more accurately.
거대 디지털 기업들은 유저들의 디지털 패턴을 학습하고, 더 나은 유저 경험을 위해 고도화된 알고리즘에 따라 개별화된 콘텐츠를 제공합니다. 예를 들어, 구글의 검색결과는 유저마다 다르고, 페이스북은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콘텐츠만을 보여줍니다. 더욱 많은 유저 정보가 빅데이터 서버에 저장되면서, 알고리즘은 고도화되고 디지털 플랫폼은 유저 패턴을 더욱 정확하게 이해하죠.

Heres the incredible story that how powerful big data is. Target, US based retailers, sends baby item promotion to customers that are pregnant grade according to their big data technology. One day, an angry man went into Target and demanded to talk to a manger. He claimed although his daughter was in high school, her received baby item promotion, which was very inappropriate. Despite she was still identified as pregnant on Targets algorithm, a manager apologized for the mistake. However, a few days later, a man called manager and apologized that it turned out his daughter was pregnant. The big data figured out her pregnancy even earlier than her parent!
여기 빅데이터가 얼마나 강력한지 보여주는, 믿을 수 없는 스토리가 있습니다. 미국 유통기업인 타겟은, 그들의 빅데이터 기술에 의해 임신한 것으로 판별되는 고객들에게 아기용품 광고를 보냅니다. 어느 날, 화난 남자가 타겟매장에 와서 매니저를 부릅니다. 그는 자신의 딸이 고등학생인데 불구하고, 타겟이 부적절하게 아기용품 광고를 보냈다며 주장하죠. 타겟의 알고리즘에 의하면, 그녀는 여전히 임신한 것으로 식별됐지만, 매니저는 실수에 사과합니다. 하지만 며칠 후, 남자는 매니저에게 전화를 걸어 사과합니다. 알고 보니 남자의 딸이 임신을 했다는 것이죠. 빅데이터가 그녀의 부모보다 임신사실을 먼저 알아낸 것입니다!

Meanwhile, why do digital platforms accumulate big data and offer personalized service? They claim personalization is good for users but the genuine reason is to maximize earnings. For example, Google and Facebook keep your digital record under big data center and sell it to advertisers. This is called targeted ads and digital platforms are printing money, utilizing user information.
한편, 디지털 플랫폼들은 왜 빅데이터를 모으고 개별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걸까요? 그들은 개별화가 유저에게 좋다고 주장하지만, 사실 진짜 이유는 이윤을 극대화하기 위해서입니다. 에컨대, 구글과 페이스북은 빅데이터 센터에 디지털 기록을 보관하고 그것을 광고주들에게 팝니다. 이것은 타겟형 광고로 불리고 디지털 플랫폼들은 유저의 정보를 이용해 막대한 돈을 벌고 있죠.

Despite internet is known to be unlimited information pool, ironically, were encouraged to access very limited information in the digital world and what you see on smartphone screen might show very narrow scope of information. Therefore, although you think youre freely get information in the digital world, you might get trapped in digital isolation
인터넷이 무제한의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공간으로 알려져 있지만, 우리는 디지털 세계에서 아주 제한적 정보만을 접하도록 유도당합니다. 그리고 우리가 스마트폰 스크린에서 보는 정보는 아주 좁은 영역일 수 있는 것이죠. 따라서, 당신이 디지털 세계에서 자유롭게 정보를 얻는다고 생각할지라도, 당신은 아마 디지털 고립에 빠져있을 확률이 큽니다.

The term “Filter bubble” describes this situation well. According to Eli Pariser who is a famous internet activist, Filter bubble is a state of intellectual isolation. Users are separate from information that disagrees with their points of view, effectively isolating them in their own cultural, political and social bubble.
필터버블이라는 단어가 이러한 상황을 잘 설명합니다. 유명한 인터넷 행동주의자 일라이 파리저에 의하면, 필터버블은 지적인 고립상태입니다. 유저들은 자신의 관점과 다른 정보와 분리되며, 이는 효과적으로 유저를 자신만의 문화적, 정치적, 사회적 버블 속으로 고립되게 합니다.

Filter bubble.png

You know its way different from knowing theres something unfamiliar outside and complete ignorance. Digital filter bubble makes us biased and kills our curiosity and creativity by erasing different viewpoint. We might lose logical and critical thinking ability as we`re more dependent on digital platforms. While getting information is easiest ever, getting wisdom is the hardest ever amid information overload in the digital world.
알다시피, 익숙하지 않은 무언가가 저 너머에 있다는 것과, 완전한 무지는 상당히 다릅니다. 디지털 필터버블은 우리를 편향되게 하고, 다른 관점을 지워버림으로써 우리의 호기심과 창의력을 말살합니다. 우리가 더욱 디지털 플랫폼에 의존하게 되면서, 합리적이고 비판적인 사고를 할 능력을 잃을 수도 있습니다. 디지털 정보의 홍수 속에서, 정보를 얻기는 그 어느 때보다 쉬워졌지만, 지혜를 얻기는 그 어느 때보다 어려워 졌습니다.

A famous futurist John Naisbitt mentioned “Were drowning in in formation but starved for knowledge” He might be wrong. We may no longer need wisdom and be an idiot IF we were fully subordinated to digital world. To prevent it, I think we should be aware of that therere digital giants that designs and distribute information behind the scene. Besides, we need to realize that what we see in the digital world might be very, very limited information and actively access different viewpoint outside of digital platform.
유명한 미래학자 존 나이비트는 말했습니다. “우리는 정보의 홍수 속에 허우적거리며 지식을 갈망할 것이다” 그는 아마 틀렸는지도 모릅니다. 우리가 완전히 디지털 세계에 종속되면, 우리는 더 이상 지혜를 갈구하지 않는 바보가 될 수 있습니다. 그렇지 않기 위해서는, 제 생각에 우리는 거대 디지털 기업들이 은밀히 정보를 디자인하고 배출하는 것에 대해 알아야 합니다. 게다가, 우리는 디지털 세계에서 보는 것이 매우 제한적인 정보일 수 있다는 점에 대해 인식하고, 적극적으로 디지털 플랫폼 밖에서 다른 관점에 대해 접할 필요가 있습니다.

H2
H3
H4
3 columns
2 columns
1 column
Join the conversation n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