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 투척: 철학, 인문학, 미디어 이론 등 다채로운 시각에서 보는 디지털 경제, 디지털 화폐 (2015)

얼마 전에 데이비드 골럼비아의 블록체인 비판을 소개했는데, 이 내용 자체보다는 그 내용의 소론이 실린 다음 자료집을 발견한 것이 더 큰 수확입니다. 철학과 인문학, 미디어 이론 등으로 현대의 화폐와 디지털 화폐에 접근하는 다양하고 깊이 있는 소론들이 많이 들어 있습니다.

─. Geert Lovink, Nathaniel Tkacz, and Patricia de Vries (eds), MoneyLab Reader: An Intervention in Digital Economy, Amsterdam: Institute of Network Cultures, 2015년 4월. 311쪽짜리 자료집.

저자 이름들은 생략하고 제목만 몇 개 아래에 뽑아봅니다. 그 며칠 전에 좀 폐쇄적으로 운영하는 페북에 소개했던 '화폐가 사라진 경제로 이행하는 진화 논리'를 천착하는 뮌헨 대학의 스테판 하이덴라이히의 소론도 들어 있습니다. 대부분이 뭐랄까 학구적인 스타일이기는 합니다.

  • When Money Becomes an Extraction Tool Rather Than Exchange Medium

  • Is There Life Beyond Money? (좀 어렵지만, Marshall McLuhan의 Understanding Media: The Extensions of Man(1964)과, 미디어 이론이 화폐 이론에 유용한 통찰이 될 수도 있음을 발견하게 해준 고마운 소론입니다. 다음 소론도 마찬가지.)

  • On a Post-Monetary Network Based Economy (화폐가 사라진 경제에 대한 이야기)

  • Accumulation and Resistance in the 21st Century

  • Mesuring Value in the Commons-Based Ecosystem: Bridging the Gap Between the Commons and the Market

  • Democratizing the Power of Finance: A Discussion About Robin Hood Asset Management Cooperative with ...

  • Bitcoin as Politics: Distributed Right-Wing Extremism

  • Financial Capital and the Money of the Common: The Case of Commoncoin

  • Money as a Medium of the Imagination: Art and the Currency of Cooperation

  • (W)orld Currency

  • Money talks: The Enclosure of Mobile Payments

  • 'Live as Friends and Count as Enemies': On Digital Cash and the Media of Payment (이 소론은 제목에서부터 논지를 짐작할 수 있습니다. “‘친구로 살아야 하지만 적으로 간주하다’: 디지털 캐시와 지불의 매체들.” 한국에서는 중앙은행과 은행권 주도의 디지털 캐시─즉 종이 현찰의 멸종─를 긍정적이고 뭔가 참신한 진화라고만 지레짐작하는 분위기가 태반이지만, 서방에서는 그 정반대로 바라보는 시각도 꽤 있습니다. 다음 소론과 함께 읽어보면 좋을 듯합니다. Brett Scott, “Cash in the Era of the Digital Payments Panopticon.” 얼마 전 여러 암호화폐 애호가들을 불편하게 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게시물 블록체인/암호통화 자료 소개: "가즈아를 극복하자(Overcoming the Hype)" 속에 들어 있는 자료입니다.)

  • ...

H2
H3
H4
3 columns
2 columns
1 column
Join the conversation n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