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에 관한 이야기 -정보, 저장, 생산으로서의 인쇄, 언어와 문자, 문자성, 글쓰기와 글읽기 : 열네 번째 글

또 맛보기 글을 먼저 놓습니다.

①<대소문자 구분에 의한 철자법은 거의 18C에야 자리잡는다-유럽>
②<마침, 쉼, 물음, 느낌표 없는 글 13C에야 사라진다. 유럽>
③<모음과 자음 구분기준은 자유, 입속의 자유. 걸리적거림 없는>
④<고대 그리스는 페니키아 알파벳 쓰기법은 왜 따르지 않았을까?>
⑤<초기 고대 그리스 문장, 짝수 줄의 알파벳은 물구나무를 섰다>
⑥<12C까지 유럽은 묵독(默讀)하면 이상하게 쳐다봤다. 우리는?>
⑦<알파벳문자만이 문명문자라고 한 자 둘. 루소와 맥루한. 이런..>
⑧<한글은 문자. 찌아찌아어는 언어. 같이 가보려 했는데>
⑨<글로는 말을 다 전하지 못하고, 말로는 뜻을 다 전하지 못한다>
⑩<구텐베르크의 금속활자 발명은 왜? 면죄부 대량 판매로 돈벌려고>
⑪<중국에서 유럽 전래. 종이, 화약, 나침반. 금속활자는 빼야>
⑫<한자, 표의문자는 옛 인쇄술 발전에는 불리. 독특한 에크리튀르>
⑬<먹, 벼루, 붓과는 달리 종이는 기원 후에 발명되었다. 음...>
⑭<양피지는 고대 이집트의 파피루스 수출 금지땜에 탄생했다>
⑮<진시황은 분서갱유 당시 종이책을 불태우지 않았다>

1.∼8.

  1. 글쓰기와 글읽기가) 흥미있는 서두 열기
    나) 먼저 글쓰기
    a) ∼ f) (직전 글)

g) 로마자(라틴 문자)의 변화 - 오늘날의 글쓰기 시작

전술하였듯이 기원후 13세기 경에 ‘스크립티오 콘티누아’를 버리게 된다.

낱말사이의 구분은 7세기경부터 도입되기 시작하여 카를 대제가 800년 정식수용하고 11세기에 거의 일반화된다.

당시에도 여전히 글(문자)보다 언어(말) 흔하고, 당연하고, 중요했기 때문이다.
그리스는 신성문자의 전통이 없었고(당연히 다신교 문화이니)
기원전 8세기경 페니키아로부터 알파벳 도입시에도 글자로 쓴 글이나 글판에 대한 신성화의 경향은 매우 적었다.
암튼 글(문자)는 여전히 말하는 것에 도구로 사용되는 정도의 인식.
그리스의 플라톤도 문자에 대해 비판적이었고, 그래서 문자발명이 전통에 끼칠 해악을 우려..우아
-문자가 미치는 부정적 영향은 전통을 전달하는 방식의 파괴라는 인식때문
-그래서 구술전통 때문에 대화체의 글....<대화>
고대 로마도 책을 칭송하지 않았다.

그런데.....
유태교와 그리스도교는 문자와 책의 사고에 가득차 있었다....이집트 영향...
이집트 상형문자=신성문자=신의 수탁 도구로 알고 있는데, 이런 생각은 아마 초기 기독교에 영향을 미쳤는 것으로 보인다.
모세의 십계명은 어디에? 돌판이다.

그렇지만 글은 오랫동안 말에 대한 보조물.
이런 인식은 오랫동안 유지되어 왔다.
이는 현대적인 관점에서 다시 강조한 사람이 바로 루소와 소쉬르이다.

물론 이를 뒤집어 문자 중심의 철학을 시도한 사람은 <그라마톨러지>를 쓴 데리다이다.

오늘날에도 사용중인 라틴어 모토
-미국 해안경비대 "Semper Paratus"→항상 준비를.
-미국 해병대 "Semper fidelis"→항상 충실하게

-미국의 몇몇 주 모토
. 웨스트 버지니아 주 "Montani Semper Liberi"→산 사람은 언제나 자유롭다
. 노스 캐롤라이나 주 "Esse Quam Videri"→겉으로 보이는 것 이상으로
-서울대학교는 "Veritas Lux Mea"→진리는 나의 빛
-서강대학교는 "Obedire Veritati→진리에 순종하라
-광운대학교는 "Veritas et Lux"→참·빛이다.
-스타 트렉에 나오는, 샌프란시스코 소재의 스타플릿 아카데미(Starfleet Academy)의 모토는 "Ex astris, Scientia"(영어로는 From the star, knowledge.ㅡ별로부터의 지식ㅡ)이다

하나 더...

"Memento mori"→죽음을 기억하라.
여러 작품에 인용되는 문구이다.

....to be continued

목차

  1. 정보의 저장고
    가) DNA
    나) 대뇌피질
    다) 문자, 책, 도서관
  2. 뭘 더 알아볼 것인가? (이번 글)
  3. 정보의 저장 방법 - 소리 전달 이후의 글쓰기
    가) 어디에다 글을 썼을까?
    나) 책(冊, book)이란 낱말은 어디서?
    다) 책의 형태는?
  4. 정보의 대량 생산
    가) 인쇄 기술의 발전과 배경
    나) 종이와 인쇄술
  5. 인쇄가 역사적 의미를 가지려면 - 대량생산과 보급
  6. 무엇을 쓰고, 인쇄하나 - 언어와 문자의 구분
  7. 정리된 ‘언어’와 ‘문자’의 구분 기준과 ‘언어’의 외연
  8. 문자성과 문자의 우월성이란 실체인가 허상인가?
  9. 글쓰기와 글읽기가) 흥미있는 서두 열기
    나) 먼저 글쓰기 (직전 글)
    a) 서론 (직전 글)
    b) 고대 그리스 글쓰기 시작 - 문자의 도입
    c) 고대 그리스 알파벳의 글쓰기 - ‘물구나무 쓰기’부터
    d) 고대 그리스 알파벳의 글쓰기 - 소몰이 쓰기법
    e) 로마자(라틴 문자)의 시작
    f) 로마자(라틴 문자)의 변화 - 소문자 등의 등장 (직전 글)
    g) 로마자(라틴 문자)의 변화 - 오늘날의 글쓰기 시작 (이번 글)
    h) 한자문화권의 우종서와 좌횡서
    다) 이어서 글읽기
    a) 글읽기와 관련된 몇 가지 개념
    b) 글읽기와 관련된 몇 가지 관점
    c) 성독과 묵독에 관한 맛보기 글
    d) 글읽기의 대상 – 문자의 종류
    e) 글읽기 – 성독
    f) 한자문화권의 글읽기
    g) 여담 몇 가지

image

H2
H3
H4
3 columns
2 columns
1 column
Join the conversation now
Logo
Cen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