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에 관한 이야기 -정보, 저장, 생산으로서의 인쇄, 언어와 문자, 문자성, 글쓰기와 글읽기 : 열여덟 번째 글

몇가지 맛보기 글..

①<(글)쓰기는 의식(생각)을 재구조화한다>
②<책읽기. 책의 골자(骨子)를 추출하면 책은 피를 흘릴 것인가?>
③<대소문자 구분에 의한 철자법은 거의 18C에야 자리잡는다-유럽>
④<마침, 쉼, 물음, 느낌표 없는 글 13C에야 사라진다. 유럽>(16.10.5)
⑤<모음과 자음 구분기준은 자유, 입속의 자유. 걸리적거림 없는>
⑥<고대 그리스는 페니키아 알파벳 쓰기법은 왜 따르지 않았을까?>
⑦<초기 고대 그리스 문장, 짝수 줄의 알파벳은 물구나무를 섰다>
⑧<12C까지 유럽은 묵독(默讀)하면 이상하게 쳐다봤다. 우리는?>
⑨<알파벳문자만이 문명문자라고 한 자 둘. 루소와 맥루한. 이런..>
⑩<한글은 문자. 찌아찌아어는 언어. 같이 가보려 했는데>
⑪<글로는 말을 다 전하지 못하고, 말로는 뜻을 다 전하지 못한다>
⑫<구텐베르크의 금속활자 발명은 왜? 면죄부 대량 판매로 돈벌려고>
⑬<중국에서 유럽 전래. 종이, 화약, 나침반. 금속활자는 빼야>
⑭<한자, 표의문자는 옛 인쇄술 발전에는 불리. 독특한 에크리튀르>
⑮<먹, 벼루, 붓과는 달리 종이는 기원 후에 발명되었다. 음...>
⑯<양피지는 고대 이집트의 파피루스 수출 금지땜에 탄생했다>
⑰<진시황은 분서갱유 당시 종이책을 불태우지 않았다>

1.∼8.

  1. 글쓰기와 글읽기가) 흥미있는 서두 열기
    나) 먼저 글쓰기
    a) ∼ h)
    다) 이어서 글읽기a)
    b) ∼ c) (직전 글)

d) 글읽기의 대상 - 문자의 종류

언어와 문자. 앞에서도 잠깐씩 언급했다.

구술성과 문자성.
<구술성과 문자성(Orality and Literacy)>(1982)라는 책이 있기는 하다.
저자 월터 옹(Water J. Ong, 1912~2003)이다.
노인이라고 자랑하시는지 이름에 옹(瓮)(?)이 있구먼.
맥루한의 적통 제자.
이런 분들은 말은 뜻의 미디어이고
글은 말의 미디어라고 본다.
따라서 말의 미디어는 글만 있는 것이 아니다.
이 논리도 말과 글은 엄연히 다르다라고 할 수밖에...
(이를 반박하는 학자도 많음을 유의)

일단 표어(표의가 아님)와 표음.

① 표어문자(表語文字, logogram, 단어 문자)[그림 문자+상형 문자+표의 문자]

-표어문자는 하나 하나의 문자로 언어의 하나 하나의 말이나 형태소를 나타내는 문자 시스템을 말한다.
-표어 문자의 상당수는 상형문자에 기원을 둔다.
-한자는 한 음절이 한 형태소가 된다.
-중국어의 각 형태소를 한 문자씩 표기하므로 체계적인 표어 문자의 대표적인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 상형 문자(象形文字)는 그림으로 이루어진 문자이며, 그림 문자로부터 발전하여 태어났다고 여겨진다.
-그림 문자와 상형문자의 가장 큰 차이 문자가 낱말에 결합되는지 아닌지에 있다.
-그림 문자는 문자와 언어의 관계를 생각하지 않고, 그 그림에 따른 하등의 관념이나 문장을 전하려고 한 것이다.
-반면, 상형문자는 문장과 언어를 분석하면서 그 언어와 문자가 대응을 이루는 표어문자의 하나이다.
-상형 문자에서 문자는 오로지 뜻을 지니지만, 일반적으로 표어 문자에서는, 각각의 문자가 구체적인 사물에 머무르지 않고 말이나 형태소를 나타내는 것이 많다.
-이러한 의미로의 상형 문자로서는, 한자, 설형 문자, 인더스 문자 등이 있다.

⒝ 표의문자(表意文字, ideogram)
-표의문자는 뜻을 전달하는 글자
-사물의 모양을 흉내내어 나타낸 글자를 나타내기도 한다.
-뜻글자라고도 불린다.
-문자마다 뜻이 있기 때문에, 표의 문자에서는 어느 문자를 보기만 해도 전하려는 바가 무엇인지 이해할 수 있다.
-숫자는 대표적인 표의 문자이다.
-표의 문자는 하나 하나의 문자가 뜻을 나타내지만 반드시 언어의 발음을 나타내지는 않는다. 바로 이 점이다. 위에서 먼저 언급한 것.
-한자 등도 표의 문자로 불리기도 하지만, 문자의 하나 하나가 의미뿐 아니라 언어의 말이나 형태소도 나타내며, 말이나 형태소의 발음도 나타낸다. 그러므로 표의 문자라고 부르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하는 의견도 있다. 이것도 바로 위에서 내가 언급한 그것이다.
-문자 체계에서 한자 등은 표어 문자로 일컫는다. 즉 표의문자라고 하는 것은 일부 오류가 있을 수 있다는 새로운 견해이다. 나의 견해이기도 하다.

⒞ 그림문자
-언어와 관계가 없지만 뜻을 나타내는 그림 모양을 특히 그림 문자(pictogram)라고 한다.

② 표음문자(表音文字, phonogram)

-표음문자는 사람의 말소리를 기호로 나타낸 문자로서 소리글자라고도 한다.
-표음문자에서 중요한 이슈가 되는 것은 표음성이다. 표음성은 어떤 언어에서 사용되는 문자의 우수성이나 언어의 우수성과는 전혀 무관하다. 표음성은 철자법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세계의 수많은 언어들 중에도 표음성이 좋은 언어는 많지 않다. 세계 언어들 중 산스크리트어(Sanskrit), 조지아어(Georgian), 에스페란토(Esperanto), 바스크어(Basque), 세르비아어(Serbian), 크로아티아어(Croatian), 핀란드어(Finnish), 한글(Hangul)이 표음성이 높은 언어(문자언어)로 알려져 있다.
-이들 언어의 특징은 문자언어에서 음성언어에 대응되는 적합한 철자법(맞춤법)을 사용한다는데 있다.
-하나의 문자가 하나의 음소에 대응하는 음소 문자와 하나의 음절을 나타내는 음절 문자로 나뉜다.
⒜ 음절문자(音節文字)는 한 음절을 한 글자로 나타내는 문자이다.
-일본 가나. 아메리카 원주민이 로마자 흉내낸 체로키 문자
⒝ 음소문자(音素文字, alphabet)는 하나하나의 문자가 원칙적으로 하나의 자음 또는 모음의 음소(音素)를 나타내는 문자 체계이다.
-자음과 모음에 대응하는 각각의 문자가 따로 존재하는게 다른 종류의 문자와의 다른 점이다.
-로마 문자, 한글, 키릴 문자, 그리스 문자 같은 것들이 음소 문자 중 하나다.
-알파벳은 자음과 모음으로 이루어진 문자를 의미하므로 한글도 알파벳의 일종이며 서양에서는 Korean alphabet이라고 한다.

이미 말하였지만 알파벳 문자만이 문명 문자라고 오리엔탈리즘(Orientalism)적 견해를 가진 자가 바로 맥루한(Herbert Marshall McLuhan, 1911∽1980년)과 루소(Jean-Jacques Rousseau, 1712∽1778년)이다. 둘 다 유명인이다. 참참참...

2016.9.26 월요일에 페이스북 게시한
<황야설수야설(黃也說竪也說)의 작은 인문(人文) 카페(60)>에 실었다.

문자의 종류를 나누는 기준이 많지만 참고로 하나 더 첨언.
문자가 다소라도 주술종교적인 세계와 관련되어있는 문자의 전형은
-은의 갑골문,
-마야의 역기호,
-이집트 신성문자에서 찾을 수 있다.
규약성이 강한 법적결정, 목록, 통계, 행정연락, 계약을 기록한 문자의 전형은
-바빌로니아 설형문자,
-페니키아문자,
-잉카매듭(키이프),
-서아프리카 다호메이의 통계기호 등이다.
이것도 준조 교수가 정리한 것을 인용하였다.

....to be continued

목차

  1. 정보의 저장고
    가) DNA
    나) 대뇌피질
    다) 문자, 책, 도서관
  2. 뭘 더 알아볼 것인가? (이번 글)
  3. 정보의 저장 방법 - 소리 전달 이후의 글쓰기
    가) 어디에다 글을 썼을까?
    나) 책(冊, book)이란 낱말은 어디서?
    다) 책의 형태는?
  4. 정보의 대량 생산
    가) 인쇄 기술의 발전과 배경
    나) 종이와 인쇄술
  5. 인쇄가 역사적 의미를 가지려면 - 대량생산과 보급
  6. 무엇을 쓰고, 인쇄하나 - 언어와 문자의 구분
  7. 정리된 ‘언어’와 ‘문자’의 구분 기준과 ‘언어’의 외연
  8. 문자성과 문자의 우월성이란 실체인가 허상인가?
  9. 글쓰기와 글읽기가) 흥미있는 서두 열기
    나) 먼저 글쓰기 (직전 글)
    a) 서론 (직전 글)
    b) 고대 그리스 글쓰기 시작 - 문자의 도입
    c) 고대 그리스 알파벳의 글쓰기 - ‘물구나무 쓰기’부터
    d) 고대 그리스 알파벳의 글쓰기 - 소몰이 쓰기법
    e) 로마자(라틴 문자)의 시작
    f) 로마자(라틴 문자)의 변화 - 소문자 등의 등장
    g) 로마자(라틴 문자)의 변화 - 오늘날의 글쓰기 시작
    h) 한자문화권의 우종서와 좌횡서
    다) 이어서 글읽기
    a) 글읽기와 관련된 몇 가지 개념
    b) 글읽기와 관련된 몇 가지 관점 (직전 글)
    c) 성독과 묵독에 관한 맛보기 글 (직전 글)
    d) 글읽기의 대상 – 문자의 종류 (이번 글)
    e) 글읽기 – 성독
    f) 한자문화권의 글읽기
    g) 여담 몇 가지

image

H2
H3
H4
3 columns
2 columns
1 column
Join the conversation now
Logo
Cen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