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호화폐 개인키 안전하게 저장하는 방법

안녕하세요. 박세계입니다.

암호화폐 개인키(Private Key) 안전하게 저장하는 방법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기본적인 부분이나 의외로 잘 모르거나 알고도 그냥 넘어가는 경우가 많을거라 생각해서 입니다.

지금까지 알려진 가장 안전한 저장 방법은 역시 하드웨어 지갑입니다. @twinbraid님이 다음 글에서 자세히 설명해주셨습니다.

사실 안전한걸로 따지면 무엇도 원시적인 종이지갑을 능가할 수 없지만 언젠가는 긴 문자열을 입력해야 할 일이 있으며, 하드웨어 지갑도 아직 스팀등 지원하지 않는 암호화폐가 있어 결국 부분적이라도 자신이 알아서 관리를 해야 합니다.

저를 포함 절대 다수가 아직 엑셀이나 텍스트 파일로 저장하는 경우가 많기때문에 해당 파일들을 조금 더 안전하게 저장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파일을 암호화(비밀번호 설정)하여 혹시모를 유출에 대비하는 간단한 방법입니다. 당연히, 암호화폐 개인키 저장에만 해당하는 것은 아닌 일반적 방법입니다.

엑셀파일 암호화 설정 방법

다음 블로그 설명이 가장 깔끔한거 같아 링크합니다. 2014년 게시물이지만 지금도 방법이 크게 다르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모든파일 암호화 설정 방법

압축프로그램으로 잘 알려진 7-Zip을 이용한 방법입니다. 제가 MS Windows를 사용하고 있어서 해당 OS 기준으로 설명하겠습니다.

  1. 7-Zip 설치 (http://www.7-zip.org/download.html)
  2. 암호를 설정해서 파일 압축하기
    1. 파일 압축하기
    2. 암호 입력하기
  3. 암호를 입력해서 파일 압축풀기
    1. 파일 압축풀기 (Extract ...)
    2. 암호 입력하기

주의사항

제1원칙: 이렇게 관리를 할 자신이 없으면 절대 하지 말고 그냥 암호 없이 관리할 것!
(해킹의 위험보다 자신의 키를 제대로 못찾을 확률이 더 크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 해당 암호를 잊을경우 엄청난 손실을 보기 때문에 꼭 자신에게 익숙한 암호를 설정하세요.
  • 어떤 방법을 사용하던지 물리적으로 다른 여러 장소에 저장할 것을 꼭 잊지마세요! (예: USB, PC, 클라우드, 종이등)
  • 한 파일에 본인이 소유한 모든 암호화폐의 키를 저장하지 마세요! 예를들어, Steem.txt, Bitcoin.txt, Ethereum.txt와 같이 나누어 저장하세요.
  • 파일에 암호를 설정한 후 꼭 다음 사항을 확인하세요.
    1. 내가 입력한 암호로 압축이 잘 풀리는지 확인
    2. 압축이 풀린 파일을 꼭 열어서 내용이 맞는지 확인
    3. 키가 실제로 정확한지 확인 (예: 스팀잇에서 로그인이 잘 되는지 확인)
    4. 모든걸 확인 후 원본파일 삭제 (휴지통에서도 지울것)

암호화폐 개인키는 잃어버리면 내 돈을 찾을 수 있는 방법이 아예 없기 때문에 반드시 최대한의 주의를 기울여 보관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H2
H3
H4
3 columns
2 columns
1 column
36 Comments
Ecen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