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content was deleted by the author. You can see it from Blockchain History logs.

[게임에 관한 두서없는 글] 2편. 게임을 소비하지 않는 게임 사용자

대문.png

한국 온라인 게임들의 "무료화"선언 바람이 불면서, 오히려 게임이란 것의 디폴트는 무료가 되었고, 유료 게임을 하는 유저가 특이한 유저, 폐인, 매니아 등이라는 기상천외한 인식이 자리잡게 되었다. 물론 어린 시절의 '나'도 그랬다. 할 게임이 떨어지면 "할만한 온라인 게임"을 네이버 초록 검색창에 쳤고, 거기서 나오는 게임들을 신나게 플레이 한 후, 공짜로 게임을 플레이하고 끄는게 자연스러운 일상이었으니 말이다.

만드는 입장이 된 후에야, 이것이 얼마나 무서운 사태인지 알게 되었다. 닌텐도가 마리오 런을 구글 스토어에 출시하고, 별점 3.7과 함께 온갖 비판을 받았다. 바로 무료 처음의 무료 스테이지를 지나고 나면 과금이 필요하게 만들어 놓았기 때문이다. ( 참고로 내가 만들어 출시한 게임의 별점이 4점을 넘는 걸 보면, 슈퍼마리오 런이 3.7 인 것은 신비한 일이다. ) 정말 너무나 당연한 이야기지만, 게임은 공짜가 아니다. 누군가는 밤새워 버그를 잡고, 누군가는 눈의 실핏줄이 터져가며 그래픽 리소스를 제작해 내며, 담배 한보루 정도를 빨아들어가며 기획 문서를 작성한다.

게임이라는 콘텐츠를 소모하는 이용자 중에, 값을 지불하는 "소비자"는 일부를 차지한다. 앞선 명제는 신비한 일이다. 조금만 바꿔 말하면, 누군가 지불한 비용으로 대다수의 무료 플레이어가 게임을 즐기고 있다는 이야기가 된다. 1프로의 과금유저와 99프로의 무과금 유저라는 말은 모바일 게임을 개발하는 개발자라면 흔히 듣는 말이다. 몇몇 유저들은 이렇게 이야기 하곤 한다. " 너무 과금 유저만 재미있게 게임을 만드니 이 게임은 과금 좆망겜이다." 그렇게 치면, 대다수의 일반 직장과 대다수의 산업은 과금 좆망산업이 된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상품을 제공해야 하는 대상은 비용을 지불하고 구매하는 소비자다. 이와 같은 기본적인 '사실'을 모르는 회사는 없다. 앞의 문단에서도 이야기 했지만, 게임은 공짜가 아니다. 그리고 공짜가 아닌 게임은 더 재미있을 수 밖에 없다. 이용자의 100% 가 소비자인 게임 생태계를 기원하며 글을 마친다.


안녕하세요. 인디 게임을 개발하는 라메드 입니다.

오늘은 조금 무겁지만 당연한 주제를 끌고 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