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폐개혁과 코인투자에 대한 단상

정부차원의 화폐개혁에 대한 준비는 끝났습니다
이미 노무현 정권당시 정부차원에서 화폐개혁을 실시하려 하였다가 여론이 좋지않자 오만원권 발급만 한 사례가 있었죠

당시 이미 한국은행과 정부 화폐개혁에 대한 스탠바이는
마쳤었습니다. 시간의 문제일뿐입니다. 화폐개혁은 합니다.

정확히는 화폐단위를 줄이는 리디노미네이션입니다. 우리나라의 경제규모와 국제적 위상과 다르게 OECD 가맹국중 가장 화폐단위가 높습니다.

화폐단위가 높으면 기축통화인 달러대비 횐율이 4자리나 높아서 무역관계에서 계산이 어려워지고 오류가 생겨서 적지않은 손해도 발생되기도 하고 일상생활에서도 계산에서 불편함이 잇따르는 등 불편한 점이 많습니다

아울러 시중 메뉴판에 5000원이 이미 5.0원으로 표기되는 등 리디노미네이션이 시행되도 될만한 사회적 분위기이기에 시간의 문제일뿐 분명 리디노미네이션은 이루어집니다. 리디노미네이션은 화폐의 액면가 단위를 절하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집니다.

이미 국감에서 한은총재가 정부차원에서 화폐개혁을 준비한다는 뉘앙스로 발언하는 등 이미 정부차원의 화폐개혁에 대한 스탠바이는 마쳤다고 봅니다

문제는 인플레입니다.
화폐단위가 줄 경우 물건값이 싸진 것처럼 느껴져 과소비가 일거나 인플레이션 저항성이 줄어들어서 인플레가 발생합니다 과거사례로도 1953년과 1962년때 각각 화폐개혁후 시장물가와 부동산 등이 폭등하는 등 인플레가 발생했었습니다

화폐개혁을 대처하기 위해서는 현금을 보유하기보다는 부동산이나 금같은 실물자산을 보유하셔야 합니다. 개인적인 생각은 전자화폐(코인)도 괜찮습니다 코인은 금같은 안전자산 개념처럼 정치, 경제적인 불안감이 조성됐을 경우에 상승하기 때문입니다

미국이 중국에 대한 정치경제적인 압박을 하며 환율조작국으로 지정을 하려하자 불안감을 느낀 중국자본이 비트코인에 많이 들어왔던것처럼요

코인도 금처럼 안전자산의 개념으로 투자하시는 방향으로 하시면됩니다 다만 주식처럼 일정시간만 장이 열리는 것이 아니라 코인시장은 24시간 시세가 변동하므로 자주 시세를 보시면 일상생활이 어렵습니다 개인적으로 하루종일 이더리움 시세만 봤던 적이 있었는데 일상생활이 어려웠습니다

코인은 시총이 높은 코인위주로 중장기계획(3년내외)으로 보유하시면 분명 큰 수익을 안겨줄 겁니다.

H2
H3
H4
3 columns
2 columns
1 column
11 Comments
Ecen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