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팀] 스팀파워 vs 스팀달러?

스팀잇.jpg

우선 이 글은 @twinbraid 님의 스팀, 스팀달러, 스팀파워의 개념을 알아보자를 참조 하였음을 밝힙니다.

안녕하세요. 이제 2주차된 뉴비입니다~

저는 아직 스팀에서 기본 스팀파워를 임대받고있는 상황인데요ㅠ 이 서러운 처지를 벗어나고자 스팀파워를 올리려는 도중 생각보다 스팀, 스팀달러와 스팀파워의 개념을 이해하기 힘들었습니다. 그래서 개인적으로 알아낸 정보를 공유하고자 합니다.

기본개념

스팀 : 기본적인 코인 단위

스팀달러 : 스팀가격의 변동에 상관없이 항상 1스팀달러어치 스팀을 바꿔주는 일종의 (금[스팀달러]값은 보통 일정하므로 화폐[스팀]가치가 높든 낮든 금에 해당하는 화폐를 제공해야 합니다.)

스팀파워 : 스팀으로 파워업가능하며 보상 등 스팀커뮤니티에 영향력을 발휘함 (100스팀파워 1인 = 1스팀파워 100인)


스팀달러

장점 : 가치보존으로써는 최고! 스팀달러값이 상승시 스팀으로 전환하면 이득!

단점 : 이율이 0%로써 장기보유시 상대적인 손실 예상됨(가격 불안정 및 인플레 등)

스팀파워

장점 : 많은 스팀파워가 더 많은 스팀파워와 달러를 부른다!! = 활동하면 활동할 수록 보상이 증가!

단점 : 스팀파워 자체로는 현금화가 불가능하며 파워다운으로 13주에 걸쳐 나눠서 스팀으로 전환받음(환전성 불리) => 스팀가격이 하락시 대처 불가능

결론적으로 단기적으로 대처해서 이득을 내고싶으면 스팀달러를, 장기적으로 커뮤니티 활동을 하면서 이익을 극대화하고싶으면 스팀파워를 보유하는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Ourselves 캠페인]
셀프보팅을 하지 않고 글을 올리시고
ourselves 테그를 달아 주시면
어떤 일이 일어날까요?
긴 젓가락으로 서로 먹여주는 천국이 이뤄지지 않을까요?

<= 함께 하실 분은 위 문장을 글 하단에 꼭 넣어주세요~

H2
H3
H4
3 columns
2 columns
1 column
10 Comments
Ecency